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국내저자 > 번역

이름:홍성광

국적:아시아 > 대한민국

기타: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및 동 대학원 졸업

최근작
2024년 5월 <프란츠 카프카 잠언·일기집>

홍성광

서울대학교 인문대 독문과 및 동 대학원 졸업, 토마스만의 장편 소설 『마의 산』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저서로 『독일 명작 기행』, 『글읽기와 길 잃기』가, 옮긴 책으로 쇼펜하우어의 『쇼펜하우어의 철학 이야기』,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쇼펜하우어의 행복론과 인생론』, 『쇼펜하우어와 니체의 책 읽기와 글쓰기』, 니체의 『비극의 탄생』,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도덕의 계보학』, 괴테의 『이탈리아 기행』, 『젊은 베르터의 고뇌·노벨레』, 게오르크 루카치의 『영혼과 형식』, 헤세의 『헤세의 문장들』, 『청춘은 아름다워』, 『헤세의 여행』, 『헤세의 책
읽기와 글쓰기』, 『데미안』, 『수레바퀴 밑에』, 『싯다르타』, 『환상동화집』, 뷔히너의 『보이체크. 당통의 죽음』, 토마스 만의 『예술과 정치』, 『마의 산』, 『부덴브로크 가의 사람들』, 중단편 소설집 『베네치아에서의 죽음』, 카프카의 『성』, 『소송』, 중단편 소설집 『변신』, 실러의 『도적들』, 『빌헬름텔. 간계와 사랑』, 페터 한트케의 『어느 작가의 오후』 등이 있다. 2001년 한독문학번역연구소 번역상, 2022년 한독문학번역연구소 창립 30주년 기념 특별 번역가 문학상을 수상했다.  

대표작
모두보기
저자의 말

<영혼과 형식> - 2021년 7월  더보기

“루카치는 『영혼과 형식』에서 작가들이 자기가 사용하는 형식을 어떻게 발견하고 만들어내는지 알려고 애쓴다. 형식은 감상성의 극복을 의미한다. 형식 속에는 더 이상 동경도 고독도 존재하지 않는다. 형식을 얻는다는 것은 가능한 가장 위대한 성취를 얻는다는 것이다. 루카치는 에세이가 하나의 예술 형식이고, 독자적이고 완전한 삶에 대해 독자적이고 완전한 형식을 부여하는 것이라고 지칭한다. 에세이는 이러한 영혼의 내용을 담고 있는 문학 형식들, 예컨대 서정시나 비극, 노벨레 등을 계기로 그 형식을 지적이고 개념적으로 파악하려는 표현양식이다.” -「옮긴이의 글」 중에서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